경제상식

국내 VS 미국 금 ETF 세금 요약 총정리

베이비히포 2025. 4. 14. 11:06
반응형

금 ETF 투자 세금 가이드

금 ETF로 수익이 났는데 세금은 어떻게 될까?
국내든 해외든 금 ETF에 투자하면 수익에 따라 세금이 부과됩니다. 하지만 국내 ETF와 해외 ETF는 과세 방식이 전혀 다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실제 종목을 예로 들어, 금 ETF 투자 시 어떤 세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쉽게 알려드릴게요.


1. 국내 금 ETF의 세금 구조

대표 종목

  • KODEX 골드선물(H) (132030)
  • KINDEX KRX금현물 (411060)

과세 방식

  • 매매차익: 비과세
  • ETF 내 분배금(이자소득): 15.4% 이자소득세

즉, 사서 비싸게 팔아도 세금이 없습니다. 다만, ETF 내부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은 자동으로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 투자자가 따로 납부할 필요는 없죠.

예시

  • KODEX 골드선물(H)에 500만 원 투자
  • 3년 후 650만 원에 매도 → 차익 150만 원
  • 과세: 0원 (비과세)
  • 단, ETF 내에서 발생한 이자소득 일부에 대해 자동 과세됨 (보통 미미)

반응형

2. 미국 금 ETF의 세금 구조

대표 종목

  • SPDR Gold Shares(GLD)
  • iShares Gold Trust(IAU)

과세 방식

  • 매매차익: 해외주식 양도소득세(22%)
  • 기본공제: 연 250만 원 (해외 주식 전체 합산 기준)

예시

  • GLD에 1,000만 원 투자
  • 3년 후 1,400만 원에 매도 → 차익 400만 원
  • 해외주식 기본공제 250만 원 제외
  • 과세 대상: 150만 원
  • 세금: 150만 원 × 22% = 33만 원 납부

※ 해외 ETF는 직접 연 5월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요합니다. 자동이 아님!


3. 금 실물 투자와 비교하면?

  • 금 실물(골드바 등)은 부가세 10%, 매매차익 과세 O
  • 금 ETF는 실물보다 수수료·보관 부담 ↓, 세금 유리

4. 국내 금 ETF vs 해외 금 ETF 정리

구분국내 금 ETF미국 금 ETF(GLD 등)
거래통화 원화 달러
세금 매매차익 비과세, 이자소득 과세 매매차익 과세 (22%)
세금 신고 필요 없음 (자동) 필요함 (직접 신고)
투자 편의성 매우 쉬움 복잡함

결론

금 ETF는 세금 측면에서 국내 ETF가 더 유리합니다. 특히 초보 투자자라면 비과세 혜택이 있는 국내 금 ETF부터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 다만, 달러 자산 분산이 필요하거나 글로벌 금 가격에 더 민감한 상품에 투자하고 싶다면, 해외 금 ETF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
포인트 요약
✔ 국내 금 ETF는 매매차익 비과세
✔ 미국 금 ETF는 연 250만 원 초과 시 22% 과세
✔ 세금 신고 여부와 복잡성도 고려하자

금 투자도 결국 세금까지 계산해야 진짜 수익입니다. 다음 투자부터는 꼭 세금까지 계산해보세요!

반응형